목록2023/11/21 (3)
초보 개발자의 성장 일기
문제 설명 소수점 아래 숫자가 계속되지 않고 유한개인 소수를 유한소수라고 합니다. 분수를 소수로 고칠 때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인지 판별하려고 합니다. 유한소수가 되기 위한 분수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약분수로 나타내었을 때, 분모의 소인수가 2와 5만 존재해야 합니다. 두 정수 a와 b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a/b가 유한소수이면 1을, 무한소수라면 2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나의 문제 해결 방법 분모와 분자를 기약분수로 만들고 유한소수의 조건을 만들기 위해서는 분모를 2나 5로 나눠서 몫이 1이 되면 유한소수로 판별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function solution(a, b) { let topNum = a; let bottomNum = b; fo..
비 구조화 할당 배열이나 객체의 속성을 해체하여 그 값을 개별 변수에 담는것이다. 배열의 비 구조화 할당 const fruitList = ['apple', 'banana', 'orange']; 배열이 있을때 이 배열을 각각 호출하려고 한다. const apple = fruitList[0]; const banana = fruitList[1]; const orange = fruitList[2]; 먼저 각각의 변수에 배열의 인덱스를 넣어서 호출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같은 배열을 불필요하게 반복하게 된다. let [apple, banana, orange] = fruitList; 배열안에 변수를 선언하고 배열을 할당하게 되면 각각 인덱스에 맞게 데이터가 할당이 된다. let [apple, banana, oran..
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치킨은 치킨을 시켜먹으면 한 마리당 쿠폰을 한 장 발급합니다. 쿠폰을 열 장 모으면 치킨을 한 마리 서비스로 받을 수 있고, 서비스 치킨에도 쿠폰이 발급됩니다. 시켜먹은 치킨의 수 chicke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받을 수 있는 최대 서비스 치킨의 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나의 문제 해결 방법 처음에 시킨 치킨의수를 10으로 나누고 내림을 하면 서비스로 받을 수 있는 치킨의 수가 된다. 서비스로 받은 치킨의 수가 10보다 크거나 같은 조건을 만족하면 10으로 나눠서 내림 후에 앞서 받았던 서비스 치킨의 수와 더한다. 10보다 작을때까지 반복한다. function solution(chicken) { let getChicken = Math.flo..